경제/거시경제학

국민경제 - 승수효과

치우(chiwoo) 2022. 2. 3. 21:29

승수효과란?

 

하나의 경제 변수가 변화할 때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 그런데 거시경제 모형에서 내생성이 있으면 안되기 때문에 모든 변수의 변화는 Y(국민총소득)을 변화시켜야 한다. 

 

식: ΔY/ΔX  = '종속변수의 변화분'/'독립변수의 변화분' 경제학에서는 '다른 경제 변량의 변화분'/'한경제 변량의 변화분' 이다.

 

여기서 X의 값이 무엇이 되느냐에 따라서 값이 달라진다. 

 

*기본적인 거시경제 모형

 

ΣPi x Qi(=Y, 총생산국민소득) =AE(총지출국민소득)

민간경제: Y = C+S 민간경제 균형시(S=I)Y = C+S =C+I

국민경제: Y = C+I+G

개방경제: Y = C+I+G+NX(X-M)

 

민간경제에서는 C=C0+C1Y

C0: 최저생계비 수준

C1(MPC: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한계소비성향

 

평균저축성향: S/Y = 총저축액/총생산국민소득 (정의) 총생산국민소득중 총저축액 비중

평균소비성향: C/Y = 총소비액/총생산국민소득 (정의) 총생산국민소득중 총소비액 비중

한계저축성향: ΔS/ΔY  저축액변화량 / 생산국민소득 변화량

한계소비성향: ΔS/ΔY = C1, 소비액 변화량 / 생산국민소득 변화량

 

정부지출승수

 

1/1-mpc =1/mps

 

투자승수(독립투자만 있다고 가정)

 

1/1-mps =1/mps

 

조세승수

 

-mpc/1-mpc 1-mps/mps

 

균형재정 승수(T=G)

 

조세승수+정부지출 승수 = 1

1/1-mpc+-mpc/1-mpc = 1

 

의미: T만큼 걷어서 G만큼 쓰면 (T=G)이면 Y는 ΔG만큼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