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창업론
자리마다 칭찬받는 방법이 다르다.
각 교육범위별로 알아야 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칭찬받기 어렵다.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석사, 박사 그별로 알아야 하는 것들이 다르다. 그래서 그 기대치에 맞춰야 하는 것이 다르다.
회사에서
사원(초기 - 잘 배우는 사람
대리 (3년) - 묻지도 않고 잘한다.
과장 - 같이 일할줄 알아야함
부장(9년~10년) - 하나의 방향으로 힘을 모을 수 있데 해야
팀장() - 회사목표에 맞게 align
사람중심 경영
1, 나보다 더 잘하는 사람을 찾기
나보다 나은 사람이 밑에 있으면 자리를 대체 될까봐 없애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러면 안된다.
직무와 업종을 정해야 한다.
직무는 많이들 준비해도 업종을 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경우 이것을 문제가 된다. 사실 회사를 가서 가장 먼저 많이 배우는 것은 직무보다 업종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특정 업종에 간다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업종이란 산업이 돌아가는 원리이다. 업종에 대해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서 업종의 사장이라면 앞으로 어떤 것을 할지를 고민해 보자!
'업계지도'라는 책을 읽어보기다. 매년나오니 사지는 말자
어디서 누가 받아서 누구에게 주는 지를 나와서 유용하다. 투자와 취업용으로 잘 활용해 보자
가고 싶어하는 업종의 실무자 혹은 선배에게 물어보자
회사에서
사원(초기 - 잘 배우는 사람
대리 (3년) - 묻지도 않고 잘한다.
과장 - 같이 일할줄 알아야함
부장(9년~10년) - 하나의 방향으로 힘을 모을 수 있데 해야
팀장() - 회사목표에 맞게 align
사람중심 경영
1, 나보다 더 잘하는 사람을 찾기
나보다 나은 사람이 밑에 있으면 자리를 대체 될까봐 없애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러면 안된다.
직무와 업종을 정해야 한다.
직무는 많이들 준비해도 업종을 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경우 이것을 문제가 된다. 사실 회사를 가서 가장 먼저 많이 배우는 것은 직무보다 업종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특정 업종에 간다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업종이란 산업이 돌아가는 원리이다. 업종에 대해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서 업종의 사장이라면 앞으로 어떤 것을 할지를 고민해 보자!
업계지도라는 책을 읽어보기
2, '회사를 키워낼 인재를 기르다'
수선유지비 6%, 교육훈련비가 높은 회사가 좋은 곳이다. 하지만 건물에 비용을 많이 들이면 안된다.
70,20,10룰
70: 일터에서의 경험
20: 코칭과 멘토링 ex)회의록 쓰는거 선배에게 배우기
10: 정규교육, 연수원 교육
직장인은
글로벌 기업의 경우에는 일터에서 실력을 쌓도록 막중한 책임을 부여한다.
큰규모 조직운영, 손익관리, 복수의 지역 사업운영, 기업 경영 총괄 기능, 신규 사업 추진, 조직자산 구조조정
성과 지향성, 팀리더십 시장이해력이 위 일들을 하는데 중요하다.
리더는 사람과 성과를 이끌 수 있는 사람이되어야 한다.
SK가 생각하는 사람을 키우는 능력
전략 마인드, 재무지식, 시장을 보는 눈(마케팅), 솔선 리더십
의도적이고 차별적으로 리더를 육성한다/
3, 믿고 맡겨야 한다.
핵심이 무엇인지 생각하자, 슈퍼 점보 여객기 개발에 대한 전략적 선택
보잉이 너무 잘나가니까 유럽에서 비행기 회사들이 모두 모여서 만든 것이 콩코드였다. 그러나 여러가지 단점이 많아서 폐지됨 이후 조인트 벤처를 만드는데 airbus라는 회사를 만듬, 당시 보잉은 해외여행이 커지지 않을 것이라 예상하여 처음에는 대형 여객기에 들어가지 않았다가 시장상황이 달라져서 고민을 시작함 결국 중형비행기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것이 각회사의 업무와 핵심자원을 바꾸게 되었다.
보잉은 대부분의 부품들을 외주에 맡기게 되었다. 거의 조립만 하는데 4주 정도 걸린다고 한다. 자신들 한 것은 한공역학을 통해 효율적인 날개를 만든 것이었다. 이전에와 다르게 자원과 조직의 변화 되었다. 사람이 변화하니까 문화까지 변화게 되었다.
업종을 먼저정하고 일상속에서 Deep thiking을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