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큐 24장 솔루션경제/거시경제학 2021. 10. 20. 18:23728x90
개인적인 지식과 검색, 강의등을 통한 지혜를 더해 만든 것으로 틑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반론을 댓글을 통해 달아주시면 더 공부하여 수정해 놓겠습니다.
복습문제
1. 닭가격이 더 소비자 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의 장바구니에 차지 비중이 더 크기 때문이다.
2.
1. 새로운 재화 미반영
2. 품질의 변화 미 반영
3. 대체효과에 따른 수량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3. GPD deflator가 더 영향이 미친다. 가격이 오르면 수량이 줄어들 것인데 소비자 물가 지수는 오르기전 수량을 활용하고 GPD deflator는 오른 후 수량을 사용하므로 더 영향을 미친다.
4. 막대 사탕: 0.2->1.2, 6배 소비자 물가지수: 150 -> 300 2배 실질 가격은3배 올랐다.
상승 정도/소비자물가지수 상승정도 = 실질 오른 가격 정도
5. 명목이자율: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대출금, 예금등의 이자율
실질이자율: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이자율,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개관식 문제
1. c
2. b
3. d
4. a
5. d
6. d
응용문제
1. 찾아보기
2.
a.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당근 2013 2 1.5 0.1 2014 3 1.5 0.2 b.
기준년 수량 기준으로 계산하기
2013: 2 X 100 + 50 X 1.5 + 500 X 0.1 = 200 + 75 + 50=325
2014: 3 X 100 + 50 X 1.5 + 500 X 0.2 = 475
소비자 물가 지수:
2013: 100
2014: 146.15....
c. 46.15...
3
a. 테니스공: 0 골프공: 50% 게토레이: 100%
b. 2015년 CPI = 150
2015년 물가 상승률(2014년 기준): 50
c. 좀더 낮아져야 한다. 실질 가격이 상승한 것이 아니라 양의 늘어남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높아보인 것이기 때문이다.
d. 달라지지 않는다. 품질의 변화가 반영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4. 찾아보기
5.
a. 37.14...
b. 34.693....
c. 다르다. 소비자 물가지수 방식은 기준년의 수량으로 구했고 GDP deflator는 비교년의 수량으로 구했기 때문이다.
6.
a. 이전 기준 바구니가 있기 때문에 지수에 반영을 못한다.
b. 이전 기준 바구니가 있기 때문에 지수에 반영을 못한다.
c. PC의 질적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d. 1단위 재화의 양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e. 가격이 높아짐에 따라 다른 재화를 더 많이 사용을 반영하는 대체효과를 반영하지 못한다.
7.
a. 1233.3..... %
b. 586.60...... %
c. 2.67../ 5.20....
d. 줄어들었다.
'경제 > 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소득 순환 소득결정 (0) 2022.02.03 통화승수 (0) 2021.12.31 멘큐의 경제학 23장 해답 (0) 2021.10.17 지표들의 관계 이해하기 (0) 2021.10.17 국민경제 - 생산 (0) 2021.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