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경제활동 인구경제/거시경제학 2022. 2. 3. 21:29
생산가능인구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정의 경제활동인구: 15세 이상 일한 의사와 능력이 되는 인구로 취업자, 실업자로 나뉠 수 있다. 취업자는 주 1시간일해서 수입을 얻었거나 수입은 없어도 가족단위 농장등 에서 18시간 이상 일을 한 인구를 말한다. 비경제활동인구: 15세 이상인구이나 일할 의사나 능력이 안되는 인구를 말한다. 취업자: 주 1시간을 일해서 수입을 얻었거나 수입이 없어도 가족단위 농장에서 18시간 이상 일한 사람들을 말한다. 실업자: 15세 이상 일할 의사와 능력은 되지만 일이 없는 사람, 주 1시간 이상 구직활동을 하였지만 수입을 얻지 못한 사람 #지표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생산가능인구 실업률=실업자수/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고용률 = 취업..
-
국민경제 - 승수효과경제/거시경제학 2022. 2. 3. 21:29
승수효과란? 하나의 경제 변수가 변화할 때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 그런데 거시경제 모형에서 내생성이 있으면 안되기 때문에 모든 변수의 변화는 Y(국민총소득)을 변화시켜야 한다. 식: ΔY/ΔX = '종속변수의 변화분'/'독립변수의 변화분' 경제학에서는 '다른 경제 변량의 변화분'/'한경제 변량의 변화분' 이다. 여기서 X의 값이 무엇이 되느냐에 따라서 값이 달라진다. *기본적인 거시경제 모형 ΣPi x Qi(=Y, 총생산국민소득) =AE(총지출국민소득) 민간경제: Y = C+S 민간경제 균형시(S=I)Y = C+S =C+I 국민경제: Y = C+I+G 개방경제: Y = C+I+G+NX(X-M) 민간경제에서는 C=C0+C1Y C0: 최저생계비 수준 C1(MPC:marginal propensit..
-
국민소득 순환 소득결정경제/거시경제학 2022. 2. 3. 21:29
#국민소득 흐름 가계 생산요소 공급, 소득 얻음 생산물 시장 수요, 소비 지출 기업 생산요소 수요, 비용 생산물 공급, 투자지출을 함 정부 생산물 시장에서 정부지출을 함 가계, 기업으로부터 조세를 재원으로 함 금융시장 가계 저축, 기업 저축을 통해 가계,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기업에 투자를 함 #범주, 균형조건 민간경제: 가계+기업, S=I S-I: 민간저축 국민경제: 가계+기업+정부 S+T=I+G T-G: 정부저축 T = G 균형재정 T G 흑자재정 적자재정시 정부가 재원을 채우는 방법 1. 국내: 국채매도 2. 해외: 외채매도 3. 중앙은행: 차입, 발권 개방경제: 가계+기업+정부+해외 S+T+M=I+G+X X > M 무역수지흑자 물가상승 가능성 X = M 무역수지균형 X C+I+G+X-M: △inv..
-
통화승수경제/거시경제학 2021. 12. 31. 23:13
하나의 통화의 변화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 위한 것으로 지준율에 변화에 따른 예금통화 승수와 중앙은행의 본원통화를 늘렸을 경우 본원통화 승수로 구분할 수 있다. MB: 본원통화 RR: 법정지준 ER: 초과지준 C: 현금 보유량 이것들을 소문자로 바꾸면 모두 예금양분의 비율로 바뀐다. MB=RR+ER+C =rD+eD+cD=D(r+e+c) 본원통화 = 법정지준금+초과지준금+민간보유 현금액 =(법정지준율+초과지준율+민간보유 현금보유율) X 총예금 D=MB/r+e+c 총예금 = 본원통화/법정지준율+ 초과지준율+ 민간보유 현금비율 M=D+C=D(1+c)=1+c/r+e+c X MB
-
게임이론 - 부분게임 완전균형경제/게임이론 2021. 12. 26. 22:55
부분게임 게임중 정보집합에 걸리지 않아서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부분게임완전균형(SPE) 정의 : 경기자들이 모든 부분게임에서 완전균형을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게임균형을 찾는 방법: 역진귀납(Backward introduction) 부분게임의 보상에 있는 경기자부터 자신의 최적 전략을 선택해서 첫번 째 선택하는 경기자의 선택까지 올라가는 방식을 말한다. 이방법을 통해서 최적 선택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쓰는 이유는 이전의 최적 선택을 구하는 방법에서는 신빙성 없는 선택을 제거하지 못했다. 그것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도 완전히 제거하지 신빙성 없는 균형들을 제거하지 못해서 결국 다른 다른 이론들이 전개되어 가는 방식을 쓴다.
-
최소자승 추정법경제/계량경제학 2021. 11. 28. 21:18
추정식 ^B1 = Sxy/Sy^2 베타 원헷 = x,y의 표본평균/y의 표본평균의 제곱 OLS (최소자승추정법)으로 회기 계수를 추정할 때 가정 A1: E[Ux|Xi] = 0 이다. 즉 오차항의 평균적으로 0이라서 n이 충분히 많다면 Y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B1에 의해 과대, 과소 추정위험을 배재한 다는 뜻이다. A2:iid(independant identically distribution)가정: 1. 추출된 표본들이 독립니다. 즉 X1, X2..라는 표본을 추출할 때 X1은 X2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2. 같은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다. 그래서 X1, X2...표본들의 분산, 평균이 모두 같다. A3:E[Xi^4] < ∞, 아웃라이어가 매우 적다. *R^2 R^2 = ESS/TSS = ..
-
맨큐 24장 솔루션경제/거시경제학 2021. 10. 20. 18:23
개인적인 지식과 검색, 강의등을 통한 지혜를 더해 만든 것으로 틑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반론을 댓글을 통해 달아주시면 더 공부하여 수정해 놓겠습니다. 복습문제 1. 닭가격이 더 소비자 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의 장바구니에 차지 비중이 더 크기 때문이다. 2. 1. 새로운 재화 미반영 2. 품질의 변화 미 반영 3. 대체효과에 따른 수량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3. GPD deflator가 더 영향이 미친다. 가격이 오르면 수량이 줄어들 것인데 소비자 물가 지수는 오르기전 수량을 활용하고 GPD deflator는 오른 후 수량을 사용하므로 더 영향을 미친다. 4. 막대 사탕: 0.2->1.2, 6배 소비자 물가지수: 150 -> 300 2배 실질 가격은3배 올랐다. 상승 정도/소비자물가지수 상..
-
멘큐의 경제학 23장 해답경제/거시경제학 2021. 10. 17. 22:07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다른 분들의 지식을 더해 만든 답이라 틀릴 수 있습니다. 틀린부분이 있다면 언제든디 댓글로 지적해 주시면 공부해서 수정하겠습니다. 1. 지출하는 사람의 돈은 모두 소득에서 오기 때문에 같아야한다. 2. 같은 조건이라면 국산이면서 비싼 차가 GDP를 더 크게 상승시킨다. 3. 3달러 증가했다. 4. 영향을 안 미친다. 중고는 GDP를 높이지 않기 때문이다. 5. C+I+GX+NE: 민산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수출-수입) 예) 민간소비: 민간부분에서 하는 소비, 차사기 투자: 기업투자, 주택투자, 재고투자가 있다. 예시로는 기업이 장비를 사는 것이다. 여기서 금융자산에 투자하는 포함하지 않는다. 정부지출: 정부가 재정정책을 하면서 쓰는 것이다. 예시로는 댐건설이 있다. 순수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