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경제 - 국민총생산경제/거시경제학 2021. 10. 17. 18:39728x90
정의: 한국가의 해외부분을 제외한 경제부분을 말한다. 기초적인 거시경제의 내용이 될 것이다.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국민소득은 3가지에서 모두 측정가능하다. 생산, 분배, 지출인데 이것들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생산을 통해 산업구조를 볼 수 있다.
분배 = 노동(근로소득) + 자본(이자소득) + 토지(임대소득) 에 대한 소득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을 통해 누구에게 생산물이 귀속되고 있는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지출 (aggregated expenditure )= 소비지출(가계) + 투자지출(기업) + 정부지출(정부)
*GDP의 정의
사전적 정의: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1)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
1. 일정기간동안 자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 총합
2. 일정기간동안 자국내에서 생산한 부가치의 총합
1. 일정기간동안
특정한 기간이 주어진다. 대부분 1년 반기 분기로 나눠진자.
2. 자국에서
속인주의로 자국에서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가 생산한 값을 구한다.
3. 생산된
거래된 것 만으로는 안된다.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중고거래는 포함하지 않는다.
4. 모든
생산되고 팔린 모든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든에는 시장에서 합법적으로 거래되는 것만 포함된다. 즉 우리가 시장에서 거래하지 않지만 필수적인 가사노동이나 불법적으로 거래되는 것들은 포함하지 않는다.
5. 최종재
최종재란 최종사용자의 사용을 위해 만든 것이다. 재화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생산된 중간재, 재고투자는 포함하지 않는다.
6. 재화와 서비스
유형 재화와 무형의 서비스를 모두 포한한다.
7. 시장가치
시장에서 가치가 매겨지는 것만 취급한다.
*GDP의 구성요소
GDP = Y 총생산으로 많이 쓰인다.
Y = C+I+G+NX
국가총생산 = 민간소비 +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
C: 민간소비
I: 투자
G: 정부지출
NX: 순수출, 수출-수입
을 의미한다.
#C, 민간소비
가계가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모든 지출이다.
웰세를 포함하는데 자가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에게 월세를 내는 것으로 고려하여 산출한다. 집을 구매하는 것은 투자로 가서 민간소비에 포함되지 않는다.
#I, 투자
더 많은 생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 것들의 소비를 말한다.
기업자본: 기업이 생산하는데 필요한 자원 (사무실, 컴퓨터, 지적재산권 등)
주택자본: 임대사업자의 주택과 민간의 주택 구입
재고투자: 이전 기간에 만들었으나 시장에서 팔리지 않는 재고를 말한다.
주의점: 주식과 채권 같은 금융자산을 구매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G, 정부지출
정부가 구매한 서비스와 재화의 합을 말한다.
주의점: 이전지출(연금, 실업수당, 사회보장제도)는 포함하지 않는다.
#NX, 순수출
수출-수입, 여기서 수입을 빼는 이유는 소비품목에 중복으로 측정되기 때문이다.
*실질, 명목
명목 GDP: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는 GDP
비교년의 가격으로 측정된 GDP를 말한다.
실질 GDP: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GDP
기준년의 가격을 기준으로 측정된 GDP이다.
기준년 =비교년 일경우 명목, 실질GDP가 동일 한다.
GDP deflator
: 물가 수준을 알기 위한 지표
식: 명목 GDP/실질GDP X100(실질 GDP는 기준년도의 가격을 사용한 것이다.)
한 년도를 다른 년도의 것과 비교하면서 물가 수준을 비교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율
GDP deflator(t)-GDP deflator(t-1)/GDP deflator(t-1) X 100
*GDP의 문제점
GDP가 평균적인 그 국가의 국민들의 삶의 질을 보여주는 척도이나 많은 문제점이 있다.
1. GDP에 포한되지 않는 것들
ㄱ. 환경의 질
ㄴ. 여가생활
ㄷ. 아이들을 돌보거나 부모님이 집에서 제공하는 시장 밖 것
ㄹ. 균등한 소득분배
그럼에도 GDP가 중요한 척도인 이유가 있는데 그 이유는
GDP가 높을 수록
상대적으로 좋은 교육, 깨끗한 환경, 건강보험등이 낮은 국가보다 좋기 때문이다.
이 주장의 근거로는
1. 기대수명
2. 평균교육년수
3. 삶의 만족도
와 실질GDP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실제 그래프는 검색해보시기 바람, 하지만 2007년 이후로는 양의상관관계가 많이 약해졌음)
*물가
개별 가격상승률
물가지수로는 조사 품목에 따라서 분류가 가능한데
1. 생산자물가지수(PPI도매물가지수): 원자재 중심의 물가지수이다.
2. 소비자물가시주(CPI,소비재물가지수)
3. 생활물가지수(장바구니물가지수): 소비자 물가중 가계가 많이 쓰는 품목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4. 근원물가지수: 생활물가지수에서 물가 변동이 심한 유류관련품목과 농산물을 제외한 물가지수이다. 하지만 곡류는 포함한다.
소비자와 생산자에게 민감한 물가로는 1. 임금 2. 공공요금 3. 유류가 있다.
#소비자 물가지수(CPI)
전반적인 물가를 측정하는 지수이며 생산물과 서비스의 전체적인 가격 측정하는 지수이다.
CPI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1. 구성항목과 비중, 가중치가 정해진다.
2. 언제 시점의 가격을 비교년도로 할지 정한다.
3. 총비용을 계산한다.
4. 기준시점을 계산한다.
식: 비교년도 재화묶음 가격/기준연도 재화묶음 가격 X100
대부분 현재 CPI가격묶음/기준년도 CPI가격묶음 X100
인플레이션율 계산
CPI(t)-CPI(t-1)/CPI(t-1) X 100
주의 할 점 CPI를 계산할 때
CPI 묶음 비용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CPI는 대부분 비교CPI가격묶음/기준년도 CPI가격묶음 X100이다. 기준년도가 비교년도와 같을 경우 100이 나온다.
CPI 인플레이션률은 두 CPI를 뺀 것이 아니라 CPI(t)-CPI(t-1)/CPI(t-1)이다. 단순히 서로 빼는 것으로 구하면 안된다.
#CPI 구성항목
1. 식료품 2. 주거비 3. 의류 4. 교통비 5. 의료비 6. 외식비, 식비 7. 교육비 8. 이외
#CPI의 문제점
1. 재화의 가격변화로 인해 대체 효과가 생겨서 소비구성 항목들이 바뀌어도 반영하지 못한다.
소비자는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그 상품의 비중을 낮추어 다른 상품으로 대체한다. 이것을 대체효과라고 하는데 이것을 CPI는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성품목과 비중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2. 신제품 반영하지 못함
신제품이 나오면 사람들의 요구에 맞는 제품이 나와 화폐의 가치가 더올라가는데 그것을 반영하지 못해 생활비를 과대 측정한다.
3. 품질변화 반영하지 못함
품질의 상승은 화폐의 가치를 올리는 것과 같다. 이런 것을 반영하지 못해 생활비를 과대 측정한다.
그럼에도 CPI가 중요한 지표인 이유는 CPI를 참고하여 정책을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GDP deflator 와 CPI
CPI GDP deflator 수입재 반영여부 O X 자본재 반영여부 X O 다른 차이 확정된 구성 이번년도 제품과 서비스라 바뀔 수 있음
가격의 변화에 따른 수량변화 반영특징 소비자 중심 국내 모든 제품 포괄 둘이 비슷하게 움직이나 차이가 생기기도 하는데 1. 항목이 다르고 2. 계산이 빈번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격 수정하기
재화, 서비스의 가격 X 현재 가격수준/T(기준년) 가격수준
= 재화, 서비스의 가격 X '현재 CPI' / 'T년 CPI'
#금리
명목금리: 물가상승을 고려하지 않은 예금,부채의 변동가치 증가율
실질금리: 물가상승을 고려한 예금, 부채의 변동가치 증가율
실질금리 = 명목금리 - 인플레이션율
'경제 > 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승수 (0) 2021.12.31 맨큐 24장 솔루션 (1) 2021.10.20 멘큐의 경제학 23장 해답 (0) 2021.10.17 지표들의 관계 이해하기 (0) 2021.10.17 국민경제 - 생산 (0) 2021.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