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서비스 기획
1. 프로덕트 마켓핏 이야기
프로덕트 마케핏
시장과 제품의 교집합이 되는 것을 해야 한다.
마켓핏이라는 것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찾는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다.
머리에 불이 붙은 사람을 찾아라
물을 뿌릴거 같으나 막상 당사자는 무엇이든 찾아 머리를 비빌것이다. 이것이 가장 마켓핏에 맞는 이야기인데
페인포인트와 MVP를 말하는 것이다.
모든 것을 해결하지 못해도 시장에서 문제하나를 명확히 해결 할 수 있는지
왜 만들었고, 어떻게 해결할지
데이터 소비자 설문, 개인적인 경험을 잘 풀어보기
많은 사람들이 해결하고 싶어하는
MVP 검증하기
2. 공공데이터 활용하기
1. 가장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찾을 수 있다.
검색 순위,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알기
2. 그 정보를 구축해 놓은 곳을 찾고 뒤지고 헤집어라
구축된 곳을 들어가서 많은 정보를 찾아라
3. 데이터 경젠대회, 공모전 대회에 참가하기
이것을 통해 프로적프 마켓핏을 잘 알아내기
시장 검증, 정보 수집 과정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3. 서비스 기획자가 고민해야 할 점
차별화할 수 있는 방법은? 매력적으로보일 수 있는 방법? 사람들이 좋아하게 만들 방법? 계속 쓰게 만들 방법?
주의 점
흔한앱, 개인 개발자들이 심심할 때 한번씩 마든앱, 공짜로 쓰면서 회사에 돈은 안되는 정보, 무료지만 불만은 많은 정보
그게 정말 사람들이 원하는 내용인지 알기
이론적으로 필요하고 안전한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이것을 발표에 녹이기
멘토님의 고민사항 호우호우 만들때
유저를 위한 서비스인가?(사용자 중심)
만드는 사람 중심인지 아닌지 생각하기
정보 전달하는 방식과 톤앤매너
쉽게 정보가 해석되게하자
도움되는 날씨 정보->+라이프 스타일 콘텐츠
2. 차별성, 이전 서비스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재를 해결했나?
기술적인 차별성도 필요함
ex> 비, 국지성 강우를 해결하기 위한 집단 지성 시스템 이걸 기상청은 해결하짐 못했었다. 유저의 정보를 이용
다른 서비스들이 배낄 수 없는 차별화 포인트와 전략을 가지고 있기
3. 명확한 타켓유저를 가지고 있는가?
타겟유저가 반응하면 서비스의 정체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들고 타겟을 1~2줄로 요약해 보기
페르소나 만들고 비슷한 사람 찾아서 물어보기
어떤 것을 좋아하고 라이프 스타일이 있는지 알기
취약계층: 디지털에 최적화 시켜주기, 어떤 취약계층인지와 그들이 필요한지 탐 몇가지와 실질 서비스 연결
금융 데이터: 쉽게 소화시켜주기, 언어 쉽게
토스 참고하기, 그래프를 보여주는 방식이 다름, 실시간 탑100
재밌는 워딩: 어제 알았으면 좋았을 주식 사건 파는 경험
구매하기,
정말 필요로 하는 것을 몇가지 보여주고 소화시킬지
노인들을 위한 ATM UX 참고하기
털어내서 MVP를 만들기
문제 파악
데이터를 찾는데 만약 없으면
정성적인 자료 만들어 내야 한다. 인터뷰를 통한 자료 찾기
피피티에 사람 나이 말풍선 넣는 것도 활용했음
아이디어
보이스 피싱 관련 정보를 주기
seunghak.matthew.ch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