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국민소득 순환 소득결정경제/거시경제학 2022. 2. 3. 21:29
#국민소득 흐름 가계 생산요소 공급, 소득 얻음 생산물 시장 수요, 소비 지출 기업 생산요소 수요, 비용 생산물 공급, 투자지출을 함 정부 생산물 시장에서 정부지출을 함 가계, 기업으로부터 조세를 재원으로 함 금융시장 가계 저축, 기업 저축을 통해 가계,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기업에 투자를 함 #범주, 균형조건 민간경제: 가계+기업, S=I S-I: 민간저축 국민경제: 가계+기업+정부 S+T=I+G T-G: 정부저축 T = G 균형재정 T G 흑자재정 적자재정시 정부가 재원을 채우는 방법 1. 국내: 국채매도 2. 해외: 외채매도 3. 중앙은행: 차입, 발권 개방경제: 가계+기업+정부+해외 S+T+M=I+G+X X > M 무역수지흑자 물가상승 가능성 X = M 무역수지균형 X C+I+G+X-M: △inv..
-
다빈치 리졸브 활용법 - 영상 자르기콘텐츠/영상 콘텐츠 2022. 1. 2. 23:31
영상 자르기 영상을 자르는 것이 영상 만들기의 가장 기초이다. 특히나 직접 얼굴이 나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이나 애니메이션을 활용해서 영사을 만들 경우 더 중요하다. 기초중의 기초인 자르기를 영상을 보지 않고 혼자서 하려다보니 많은 시간이 걸렸다. 그리고 반대로 영상을 다보고 해보려니잘 안되더라... 이런 것을 보면 하나 보면서 배우고 하나 직접 해보는 1:1 대응 방법으로 배우는 것이 가장 좋을 듯 싶다. 요약을 먼저 설명하고 나서 사진을 통해 설명하려 한다. 1. 영상 타임라인에 올리기 2. 빨간 줄을 자를 부분에 올리기 3. ctl +단축키 'B' 누르기, 누르면 영상이 두개로 분리 된다. 4. 단축키 'A' 누르기 5. 없앨 부분 오른쪽 커서 cut 누르기 이렇게 하면 자를 부분들이 사라진다.
-
다빈치 리졸브콘텐츠/영상 콘텐츠 2022. 1. 1. 23:36
경제 콘텐츠를 글로만이 아니라 영상으로 만들고 싶어 관련 된 것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대부분이 파이널 컷, 르리미어프로를 쓰지만 둘다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시작은 비용이 들지 않는 프로그램을 찾아보았습니다. 그중 가장 좋은 것이 다빈치 리졸브라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아서 다운받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혼자서 하려니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서도 없고 영어로만 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혼자서 써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기본벝 할 수 있을지 몰라 유튜브를 이용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y6o0Njxoyk&t=974s 기술만 배운다고 좋은 크리에이터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기에 기획을 먼저 하기로 했습니다. 어떤 주제? 경..
-
통화승수경제/거시경제학 2021. 12. 31. 23:13
하나의 통화의 변화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 위한 것으로 지준율에 변화에 따른 예금통화 승수와 중앙은행의 본원통화를 늘렸을 경우 본원통화 승수로 구분할 수 있다. MB: 본원통화 RR: 법정지준 ER: 초과지준 C: 현금 보유량 이것들을 소문자로 바꾸면 모두 예금양분의 비율로 바뀐다. MB=RR+ER+C =rD+eD+cD=D(r+e+c) 본원통화 = 법정지준금+초과지준금+민간보유 현금액 =(법정지준율+초과지준율+민간보유 현금보유율) X 총예금 D=MB/r+e+c 총예금 = 본원통화/법정지준율+ 초과지준율+ 민간보유 현금비율 M=D+C=D(1+c)=1+c/r+e+c X MB
-
게임이론 - 부분게임 완전균형경제/게임이론 2021. 12. 26. 22:55
부분게임 게임중 정보집합에 걸리지 않아서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부분게임완전균형(SPE) 정의 : 경기자들이 모든 부분게임에서 완전균형을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게임균형을 찾는 방법: 역진귀납(Backward introduction) 부분게임의 보상에 있는 경기자부터 자신의 최적 전략을 선택해서 첫번 째 선택하는 경기자의 선택까지 올라가는 방식을 말한다. 이방법을 통해서 최적 선택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쓰는 이유는 이전의 최적 선택을 구하는 방법에서는 신빙성 없는 선택을 제거하지 못했다. 그것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도 완전히 제거하지 신빙성 없는 균형들을 제거하지 못해서 결국 다른 다른 이론들이 전개되어 가는 방식을 쓴다.
-
해커톤 멘토링경영 2021. 12. 23. 23:02
차멘토님 1. 우리가 해결해 주고 싶은 문제 한문장으로 구체화시키기 추천: 리스크를 알려주는 서비스는 어떠한가? 위험 부분을 강조해서 알려주거나 +거기에 맞는 교육자료+후기 2. 마켓핏을 맞음을 모바일 앱 다운로드 정도로 말해주면 될까? 예전에는 창구에서 들으면서 어쩔 수 없이 들었지만 디지털화되면서 들을 일이 없고 약관도 읽지 않는다. 그래서 필요함을 설명해 주면 좋을 것이다. 3. 표본의 이 40명대인데 써도 괜찮을지 인사이트를 얻기 위함이니 괜찮다. 4. 전문가가 의견을 골라주기 위함은? 포인트를 주거나 명성을 주거나 할 수 있어야 한다. 5. 일반인의 의견이나 세롁들의 잘못된 정보 이것이 오히려 리스크를 늘리는 것은 아닌가?, 무조건 더하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엣지있게 하기 위해서는 문제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