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투자에는 두가지
종목투자
자산배분: 자산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
가치투자자들의 자산 배분
1. 전망을 믿지 않는다.
전망하여 맞출 수가 없다.
2. 일반적으로 1/시장PER과 채권금리를 비교하여 주식과 채권 가치 비교(Yield -Gap 방식)
시장 PER은 기관마다 좀 다른데 어는 곳이던 매년 똑같은 곳으로 쓰기
구성
크게는 주식, 금리상품, 대체자산(부동산, 기타자산 등)
가치투자자들은 이렇게종목을 먼저 선정하여 자산배분이 달라지는 경우도 많다.
서준식교수님의 원칙
1. 투자자산이 본전수익률(5~6%)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
2. 투자자산의 10%는 외화자산
한국의 많은 위기는 전쟁이나 원화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3. 투자자산의 10%는 즉시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으로 보유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주가 폭락상황에서 유리하기 때문도 있다.
4. 현금흐름(배당, 이자)가 본전수익률 이상이 되도록 노력
5. 투자 자산의 80% 이상을 주식과 채권(국내, 해외 모두)에 투자한다.
두 자산만큰 서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자산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6.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상승하면 주식 비중을 줄이고 금리가 하락하면주식 비중을 늘린다.
7. 주식과 채권의 기대 수익률 차이가 확대되면 주식 비중을 늘리고 차이가 축소되면 주식비중을 줄인다.
8. 긴급한 투자를 위해 차입 가능 허나 1년간 나에게 생기는 총액을 넘기지 말기, 단기에 갚기 어려운 차입으로는 투자는 안됨
9. 살아가는 위험을 자산배분을 통해 예방하기 위해 노력
휘발유 많이 쓰면 유가관련, 유학가면 달러 예금 같은 상황을 말한다.
10. 예측과 전망이 아닌 원칙에 따라 결정하고 있는 점검하기
원칙은 합리적 근거 없이 상황에 따라 수정하는 것은 안된다.'금융,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의 문제 (0) 2022.07.23 금융 단어 공부 (0) 2022.06.24 채권형 주식투자 (0) 2021.10.03 가치투자 기본 원리-낮은 매수가에 집착하라 (0) 2021.09.20 미국 주식 투자를 위한 기초 (0) 2021.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