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VC현금의 흐름
한국모태펀드(KIF,FOF)+금융기관+개인(자금조달) -> VC ->(투자대상 물색) IR, 지인, 기존 투자 대표
이중에서 IR에 나온 곳은 이미 좋은 곳은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함, 네트워킹을 통해 받는 것이 더 많다고 함
# 벤처캐피탈 투자프로세스
발굴-> 미팅-> 피칭-> 팀논의 ->보고서, 시장, 사례 검토 (창업자의 시각, 심시역의 시각)등 모두 검토
#VC 심사역의 차이
VC,CVC, 은행VC 중 뒤로 갈 수록 월금쟁이에 가까우나 기업마다 다름
#현재 VC상황
이전보다 보수적으로 평가중
#회수 방법
한국: IRR로 평가하여 빠르게 회수
미국: 멀티플방식, 상대적 느리게 회수
방법으로는
1. IPO, Pre-IPO하는 곳에 넘김
2. M&A, 회사 인수합볍목적으로 거래
3. 구주거래, 다른 투자처에 주식 신규 발행이 아닌 것으로 거래
#VC구분
PE의 일부이나 주로
PE: 주식을 사서 재무상태개선(구조개조)
VC: 비상장회사, 모험자본 투자
AC: 가치가 낮을 때 역량 스킬을 높여주어 가치를 높여 수익 창출(YC, 와이컴비네티어가 주 예시)
#창업자의 큰 유형
1. 컨설팅펌
2. 프로덕트 가이
#가치평가 방식
1. 매출, 영업이익(PER,PBR 등)이나 초기 투자의 경우 어려움
2. 사람과 사업평가(경력, 역량, 경쟁력있는 사람인가?)
3. 수치적 평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는가?
#추천루트
너무 수가 적어 평균을 내기 힘듬
KVIC교육을 통해 뽑기도 함
#VC의 현금흐름의 방식
LP로부터 받은 투자금 중 일부 수수료로 가져가고 목표 수익률보다 높을 경우 수수료를 추가로 받거나 투자금 중 일부를 수수료로 더 감
#기본적으로 평소 보는 것을
거시경제, 나라마다 수치비교(소득, 가처분 소득, 인구와 나타나는 현상의 연결)
YC의 팟캐스트 자료
#VC의 회사 구조
큰 곳(ex>한국투자파트너스): 체계에 따라
작은 곳: 개인의 따라 하나 팀안에서도 도움
#사후관리
VC: 발굴, 검토, 투자
관리: 사후관리 펀드관리, 행정, TIPS(시 관련 자료 만들기)
#추천 하는 것
가장 좋아하는 분야를 정해 그 분야 심사역이 되는 것은 어떠한지?
#추천자료
YC의 팟캐스트와 관련 자료
책: 제로투원, 아이디어 불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