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금융화폐론) 3장 연습문제 풀이(10판)경제/화폐금융론 2021. 4. 16. 20:55728x90
이 게시물은 글쓴이의 개인적은 답과 조언들어 만든 것으로 일반적인 정답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틀렸다고 생각한다면 댓글을 달아주셔도 됩니다. 연습문제의 번호가 다를 수 있습니다
5, 포도주가 금보다 화폐로 쓰이기 좋은 이유는 화폐의 특성 3가지로 볼 수 있다.
1, 교환의 매개가 되기 쉬움
ㄱ, 표준화(포도주는 상품마다 다름 그에 비해 금은 상대적으로 무게나 함유량을 통해 표준화하기 좋음)
ㄴ, 규격화( 몇리터를 어떤 도수에 따라 하는 것보다 금화가 규격화하기 좋음 )
ㄷ, 시장 구성원이 인정하는 수용성(포도주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금,은,동의 가치는 인정하는 문화와 민족이 많음)
ㄹ, 분리가 쉬워야 함(포도주가 분리가 쉬워보이나 매번 리터를 재기 쉽지 않고 분리하다가 엎지를 가능성도 높음)
ㅁ, 내구성 (포도주에 비해 금이 상할 위험이 없음)
예를들어 포도주는 운반비용이 많이든다. 그래서 거래비용이 발생하지만 금화는 상대적으로 가치에 비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상대적으로 편리하여 비용이 들지 않는다.(거래비용이 들지 않는다.)
이부분 모두에서 포도주보다 금이 더 우월함
2, 거래의 단위가 되기 좋음
규격화의 동질성
포도주는 원산지나 품질에 따라 가치가 매우 달라지지만 금은 그에 비해 일정하다.
3, 가치저장의 척도
ㄱ, 내구성금은 포도주에 비해서 내구성이 있다. 그래서 상할 위험이없다.
ㄴ, 포도주의 경우 민간에서 화폐 발행하기 쉽기 때문에 특정한 선호에 의해서(갑자기 파티가 많거나 포도주를 다른 술보다 선호하게 됨 이등) 공급이 늘어서
ㄷ, 포도주는 포도라는 작물을 발효한 것이라서 농산물 특성상 풍작이거나 흉작일 수 있는데 이경우 심각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
10,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화폐의 기능인 3가지 기능을 모두 상실했기 때문이다.
1, 교환의 매개의 기능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교환하기 유용해야 하는 기능을 상실했다. 예를들면 거래비용이 들지 않거나 적게 들어야 하는데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많은 돈의 양으로 거래가 가능해서 거래비용이들고 매번 은행을가고 찾아야 해서 거래비용이 들었다. 이외에도 제품을 공급하는 입장에서는 물건을 팔고나면 바로 가치가 떨어져서 본국 화폐를 받지 않으려하여 수용성을 갖추지 못하게 된다.
2, 거래의 단위가 되기 좋음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계속 가격이 올라서 순간의 가격을 제대로 나타내주지 못해서 가치측정의 척도가 됮 못한다.
3, 가치저장의 척도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본국의 화폐 가치는 빠르게 낮아져서 가치를 저장하지 못하게 만든다.
반면에 달러의 경우에는 원유거래와 대부분의 수출입에 사용되서 교환의 매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도 브라질화폐에 비해 낮아서 가지측정의 척도하는 기준을 만족하고 가치저장의 기능도 더 잘 해줄 수 있다.
cf) 이경우에는 다시 자국의 화폐로 돌아오는 것이 쉽지 않다. 가장 최근의 예가 바로 짐바브웨이를 들 수 있다.
'경제 > 화폐금융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화폐금융론) 17장 연습문제 풀이(10판) (0) 2021.04.20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화폐금융론) 7장 연습문제 풀이(10판) (0) 2021.04.20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화폐금융론) 6장 연습문제 풀이(10판) (0) 2021.04.20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화폐금융론) 5장 연습문제 풀이(10판) (0) 2021.04.20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화폐금융론) 4장 연습문제 풀이(10판) (0) 2021.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