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 시장 거품 판단 여부 지수
PIR(Price of Ratio): 가계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
PRI = 해당지역 평균 주택가격 ÷ 해당지역 근로자 가구 평균 연소득
HAI(Housing Affordbility Index): 주택구입능력지수
HAI = 연평균 가구소득/대출상황요구소득 × 1000
기준:100 기준으로 과열괴 아님을 구분
PRR(Price to Rent Raio): 주택수익비율
PRR = 주택 매매가격/연간임대료의 총합
* 세금
실효세율: 재산가액 대비 재산세 규모
재산세액/재산가액
= 재산세액/과세표준X과세표준/재산가액
= 명목세율 X 과표 현실화율
재산세부담률: 소득대비 재산세 규모
소득대비 재산세 부담률
= 재산세액/소득
= 재산세액/주택가격 X 주택가격/재산가액
= 실효세율 X PRI
재산세와 부동산 가격
R : 순임대소득
P : 자산가격
t : 재산세율
T: 임대료 세율
i : 할인률
P = R / i
= 순임대료/할인률
P = R / i+t
= 순임대료 / 할인률 + 재산세율
의미: 재산세율 상승시 자산가격상승
전제: 재산세 효과 = 임대소득과세 효과시
P = ( 1 - t )R / i
=(1 - 재산세율) X 순임대료소득 / 할인률
P = R/ (i + t - b)
= 순임대소득 / 할인률 + 재산세율 - 공공서비스 지출 자산가격 상승률
건설회사 시공능력 평가시공능력 평가액 = 공사실적 평가액 + 기술능력 평가액 +경영 평가액 + 신인도 평가액
최소운영 수익 제도
MRG 보전수입 = 추정수입 ×MRG보장비율(통상80%~90%) - 실제수입
'경제 > 부동산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금융 (상품 중심) (0) 2021.06.13 북한과 부동산 (0) 2021.06.13 부동산과 4차 산업혁명 (0) 2021.06.13 부동산 정책과 산업 (0) 2021.06.13 부동산 금융 (0) 2021.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