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금융 (상품 중심)경제/부동산경제학 2021. 6. 13. 23:43728x90
디벨로퍼
부동산 개발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앝타깝게도 한국에는 국제적인 부동상 디벨로퍼 회사가 없다.
부동산 개발금융 역사
시행사: 개발회사
시공사: 대규모 건설회사
IMF전까지만 해도 시공사가 중심으로 시행사 역할까지 하였다. 시행사는 초기 토지비용 정도만 하였다.
문제점
시공사 부실시 전체 프로젝트가 부실화되고 금융기관도 문제가 됨 하지만 금융회사는 당시에는 참여가 불가해 상황을 제대로 알 수 없었다.
IMF이후
자금조달 방식이 다양해 졌다.
건설회사 시공능력 평가
시공능력평가제도
시공능력평가 업종
시공능력 평가액
이 생겼다.
리츠
부동산투자신탁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다수로부터 투자금 모아서 부동산에 투자
SPC와 같은 페이퍼 컴퍼니를 만들어 투자
배당 90%인 것이 특이함
1. 수익성
2. 유동성
3. 안정성
리츠의 자금조달
자금조달 방법
투자구조: 총투자비용: 매입비용 + 취득세등 부대비용 = 총펀딩비용: 타인자본(차입, 보증금) + 자기자본(우선주+보통중)
사업참여자 구조:
1. 임대형리츠: AM+PM+FM
2. 개발형 리츠: AM+PM+분양대금 등
'경제 > 부동산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상 경제학 예상 서술형 문제 (0) 2021.08.14 북한과 부동산 (0) 2021.06.13 부동산관련 공식들 (0) 2021.06.13 부동산과 4차 산업혁명 (0) 2021.06.13 부동산 정책과 산업 (0) 2021.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