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상 경제학 예상 서술형 문제경제/부동산경제학 2021. 8. 14. 20:46728x90
부동산경제학관련 예상문제와 해답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사실 정말 의견보다는 출제자의 의도에 맞게 만든 것이라 필자의 생각과는 전혀다른 부분도 많습니다.
코로나 이후 부동산 경기가 어떻게 될 것 같은지 근거와 이유를 들어서 예상해 보시오
전략: 거시경제와 부동산 그리고 프롭테크부분을 곁들여 쓰면 좋을 것 같다. 거시경제 상황으로 예상하지만 프로테크로 인해 덜 나빠지거아 더 좋아질 것이가.
코로나 이후 부동상 경기는 좋아질 것이다. 왜냐하면 부동산 경기는 금리, GDP성장, 물가상승률과 양의 선형관계가 있고 정부의 정책 방향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HSSI도 수도권과 광역시는 90을 넘어 회복추세로 앞으로도 호재를 보이지만 부채와 과다공급으로 인한 문제가 예상되고 분양추세는 수도권과 광역시에 초점이 맞춰져서 양극화도 예상된다.
1. 저금리와 정부의 확장재정정책(화폐적 경기변동이론 활용)
현재 저금리 이지만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거기에 실업률이 개선되지 않고 나빠디고 있는 추세라서 함부로 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오히려 내릴 가능성이 높다. 금리가 낮으면 많은 많은 사람들이 돈을 빌려서 부동산투자 할가능성이 높다.(기준금리와 주택가격 변동률 상관관계 -0.2) 화폐적경기변동 이론에 따르면 신용경색이나 통화증가, 금리가 부동산 경기변동을 유발한다. 이 이론에 맞게 낮은 금리와 정부의 확장재정정책이 맞물려 유동성 확장으로 인해서 부동산 경기는 상승할 것이다.
2. GDP성장 (실물경기변동이론 활용)
세계적인 통계를 보면 GDP의 성장과 부동산가격은 영향이 깊다.(GDP성장률과 주택가격 변동률 상관관계는 0.38이다) 이번분기 GDP성장률은 기저효과로 코로나 이전보다 높은 2.4%성장하였고 이번년도는 3.8%(IMF예상)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인해서 부동산 가격도 오르고 경기도 상승될 것으로 보인다.
3. 정부 규제 완화
DTI와 LTV를 완화하여 빛을 내서 부동산을 투자하기 한층더 좋아졌다. 이로 인해 부동산 가격 상승 특히 주택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오세훈시장의 당선으로 민간기업확대와 정비사업규제 완화도 예상된다.
4. 위험요인
하지만 위험요인들이 많다. 1. 과도한 부채 2. 정부의 과도한 공급예상으로 급격한 하락 위험이 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는 우경사의 비대칭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경기에 비해 천천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5. 프롭테크의 부상으로 위험 상쇄
한국 부동산 가격의 변동요인은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수급불균형이었다. 그러나 프롭테그의 부상으로 수급불균형이 해소되고 투자 활성화가 되어 문제 상황에서도 대처를 이전보다 유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문제였던 데이터 정제를 공공데이터 댐 사업을 통해 수집, 정재, 개방하고 있다. 이로인해 부동산분야도 테이터 경제에 한발더 나아가 프롭테그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시) 비대몀 마케팅 (사이버 견본주택, VR,AR활용 체험등)
'경제 > 부동산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금융 (상품 중심) (0) 2021.06.13 북한과 부동산 (0) 2021.06.13 부동산관련 공식들 (0) 2021.06.13 부동산과 4차 산업혁명 (0) 2021.06.13 부동산 정책과 산업 (0) 2021.06.13